티스토리 뷰
1. 영화 [라라랜드] 줄거리
화창한 고속도로에서 로스앤젤레스를 시작으로 색채, 음악, 리듬으로 관객을 사로잡는 라라랜드. 이 도시는 누군가에게는 빛나는 기회의 땅이자 또 누군가에게는 잔인한 현실에 직면하는 곳입니다. 미아는 카페에서 일하며 배우의 꿈을 추구하는 젊은 여성입니다. 오디션에서 항상 좌절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매일 새로운 기회를 찾습니다. 그러던 중 재즈 피아니스트 세바스찬이 그녀 앞에 나타납니다. 세바스찬은 재즈 음악을 진심으로 좋아하지만 상업성에 대한 타협하지 않는 고집으로 인해 항상 현실의 벽에 부딪힙니다. 크리스마스이브에 레스토랑에서 캐럴을 틀어달라는 고용주의 요청을 즉흥적으로 거절했다는 이유로 해고되자 그는 이 도시에서 꿈을 지키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보여줍니다. 이 장면에서 미아는 그의 공연을 처음 듣고 두 사람은 처음 만나지만 어색하게 인사조차 하지 못합니다. 나중에 우연히 다시 마주친 미아와 세바스찬은 서로에게 호기심과 끌림을 느끼면서 가까워집니다. 더스크 힐에서 펼쳐지는 뮤지컬 넘버 '사랑스러운 밤'은 서로 다투다가 끌려가는 감정을 유쾌하게 담아낸 장면입니다. 두 사람은 점점 더 사랑에 빠지고 서로의 꿈에 영감을 줍니다. 세바스찬은 미아에게 연기를 포기하지 말라고 격려하고, 미아는 자신만의 재즈 클럽을 열겠다는 꿈을 잊지 말라고 조언합니다. 하지만 현실은 항상 달콤한 환상에 금이 갑니다. 세바스찬은 안정적인 수입을 위해 밴드에 합류하고 미아는 1인극을 준비하면서 점점 더 고립감을 느낍니다. 두 사람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다가 결국 갈등 끝에 헤어지게 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미아는 유명 배우로 성공하고 세바스찬은 자신만의 꿈의 클럽을 열었습니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서 실수로 클럽에 들어간 미아와 남편은 다시 세바스찬과 마주하게 됩니다. 그가 피아노를 치며 과거의 기억을 되돌아보는 몽타주 장면은 관객의 마음을 울립니다. "우리가 함께했더라면"이라는 상상이 애틋하게 펼쳐지고, 결국 두 사람은 서로의 꿈은 이루었지만 사랑은 하지 못했던 현실을 마주하게 됩니다. 마지막 미소는 외롭고 따뜻하여 진심이었던 시절을 떠올리게 만든다.
2. 연출과 연기- 고전의 아름다움과 현대적 감성의 융합
라라랜드는 다미엔 셰르젤 감독의 영화로 뮤지컬 영화의 전통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작품입니다. 클래식 뮤지컬 영화의 향수를 자극하는 동시에 세련된 미장센과 감각적인 연출로 새로운 세대를 위한 로맨스를 만들어냅니다. 영화의 도입부인 고속도로 댄스 씬 '또 다른 날의 태양'부터 마지막 회상의 몽타주까지 모든 장면이 음악, 춤, 색채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시각과 청각의 예술이 영화를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는지 증명합니다. 셔젤 감독은 캐릭터의 감정선을 과장하거나 드라마틱하게 만드는 대신 음악과 촬영을 통해 자연스럽게 표현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카메라는 캐릭터의 걸음걸이에 맞춰 리듬을 타고 흐르고, 넓은 각도에서 포착된 도시 풍경은 현실과 판타지를 뛰어넘는 분위기를 자아냅니다. 특히 미아와 세바스찬이 하늘을 나는 전망대 장면은 두 사람의 설렘을 시각적으로 구현한 명장면입니다. 음악은 영화의 또 다른 주인공입니다. 저스틴 휴이츠가 작곡한 오리지널 사운드트랙은 재즈의 감성과 현대적인 감성이 조화를 이루며 각 테마가 캐릭터의 감정 변화와 맞물려 흐릅니다. 대표곡인 '별의 도시'는 도시와 사랑, 꿈을 상징하는 곡으로 영화의 감성을 잘 보여줍니다. '꿈꾸는 바보들'은 미아의 감정이 폭발하며 미아의 삶과 열정을 그대로 담아내는 장면입니다. 배우들의 연기도 인상적입니다. 오디션 도중 스톤은 카메라를 응시하며 단 한 번의 테이크로 감정을 발산합니다. 그녀의 눈빛과 목소리는 단순한 연기를 넘어 진심 어린 고백처럼 느껴집니다. 이번 공연으로 스톤은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수상하며 연기력을 인정받았습니다. 라이언 고슬링은 피아노 연습을 하며 공연 장면을 직접 소화했고, 세바스찬 캐릭터를 감정적으로 묘사하기도 했습니다. 두 배우의 케미는 영화의 서정성과 현실감을 동시에 전달합니다.
3. 꿈을 향한 노래, 사랑을 향한 발걸음- 느낀 점
이 영화를 보고 나면 우선 기분이 좋아집니다. 라라랜드는 단순한 뮤지컬 영화가 아니기 때문에 우리 모두가 지나쳤던 열정과 아픔, 사랑의 기억을 감동시키는 서사시입니다. 어떤 사람들은 이 영화를 보고 사랑의 아픔을 떠올리고, 어떤 사람들은 잊힌 꿈을 떠올릴 것입니다. 따라서 라랜드는 보는 사람의 삶에 따라 다양한 얼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인상적인 부분은 이 영화가 사랑과 꿈이라는 두 가지 가치 중 하나를 선택한 두 사람의 선택을 비판하거나 미화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미아와 세바스찬은 서로를 진심으로 사랑했지만 끝까지 함께하지 못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두 사람의 사랑이 가짜이거나 실패한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그 짧은 시간 동안 서로에게 준 영감과 변화는 누구보다 강렬하고 의미가 깊었습니다. 영화는 사랑이 두 사람을 지금의 자리에 서게 했다는 이야기를 조용히 들려줍니다. 영화의 또 다른 중요한 메시지는 선택의 무게입니다. 우리는 인생에서 수많은 선택의 순간에 직면합니다. 때로는 사랑을, 때로는 현실을, 때로는 자신을 선택해야 하는 기로에 서 있기도 합니다. 라라랜드는 이러한 선택의 결과가 항상 행복한 결말을 낳는 것은 아니지만 우리의 삶을 구성한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세바스찬과 미아가 서로 다른 길을 걸었던 것은 "꿈에 도달하는 과정의 자연스러운 변화"였을 뿐이라는 것이 인정됩니다. 마지막 장면의 상상 속 몽타주는 정말 가슴에 깊은 느낌을 남깁니다. 누군가와 함께할 수도 있었던 삶을 생각할 때 느끼는 씁쓸함, 그리고 그 삶이 실제보다 아름다워 보일 때 느끼는 씁쓸함. 하지만 영화는 그 판타지를 오래 붙잡지 못합니다. 현실로 돌아온 두 사람은 서로를 바라보며 짧은 미소를 주고받습니다. 이것이 바로 라라랜드가 전하고 싶은 진정한 메시지가 아닐까요? "우리는 마침내 우리의 길을 떠났지만 그 순간 진심이었고, 여러분 덕분에 여기에 있습니다."라고 웃는 얼굴이 말했습니다. 이 영화를 통해 개인적으로 느낀 점은 사랑, 꿈, 타이밍이 모든 것일지도 모른다는 것입니다. 사랑하는 사람이 있더라도 이루고 싶은 꿈이 있다면 두 사람은 같은 길을 걷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 꿈을 응원해 줄 사람이 곁에 있었다는 사실도 위안이 됩니다. 때로는 세바스찬이 미아에게 말한 것처럼 누군가가 우리의 잠재력을 진심으로 믿는다고 해서 다시 일어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또 한 가지, 영화는 우리가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해 너무 슬퍼하지 않습니다. 그리워했던 사람들, 그리워했던 순간들, 지나쳤던 기회들은 그들이 실제로 우리의 일부였고 그 안에서 성장했다는 것을 깨닫게 합니다. 라라랜드가 주는 가장 따뜻한 위로입니다. 결국 '라라랜드'는 다채로운 색채와 음악에 담긴 매우 현실적인 이야기입니다. 꿈과 사랑을 쉽게 손에 넣을 수 없는 세상에서 때로는 후회하고, 때로는 기억하고 넘어갑니다. 여정의 아름다움과 씁쓸함을 동시에 노래한 영화입니다.